[역사(歷史)] 충무공 이순신에 관한 단상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29 07:51
본문
Download : ●이순신.hwp
이때 적선이 출몰한 정보를 얻어 8일 큰배 36척 중간배 24척 작은배 13척을 만나 전투가 벌어졌다.레포트 > 기타
설명
충무공, 이순신, 충무공이순신, 이순신장군, 충무공생애, 이순신업적
충무공 이순신에 관한 단상
(3)한산도 대첩
네이버지식
한산도대첩은 임진왜란의 3대 대첩 중 하나로 1592년(선조 25) 음력 7월 8일 한산도 앞바다에서 이순신 휘하의 조선 수군이 日本 수군을 크게 무찌른 해전으로, 이 전투에서 육전에서 사용하던 포위 섬멸 전술 형태인 학익진을 처음으로 펼쳤다. 거짓으로 후퇴하는 듯하여 적들을 큰바다로 끌어 낸다음 학의 날개처럼 배들이 진을 치고 지자총통, 현자총통, 승자총통등을 발포하여 적들을 괴멸시키는 데 성공하였다. 이날 日本 수군은 큰 배 한 척, 중간 배 일곱 척, 작은 배 여섯 척만이 후방에 있어 도망을 칠 수 있었다.
충무공 이순신에 관한 단상 [참고자료] 위키백과 네이버지식 네이버블로그 [이용대상]
한편 음력 7월 말에 이르러서야 육전에서도 홍의장군 곽재우(郭再祐)가 승리하였으며 홍계남(洪季男)이 안성에서 승리하였다.
Download : ●이순신.hwp( 18 )
음력 7월 4일 출발 6일에 노량에 이르러 경상우수사 원균과 합류하였다.
[참고 ] 위키백과





●자살설과 은둔설
[역사(歷史)] 충무공 이순신에 관한 단상
순서
네이버블로그 [이용대상]
●이순신
다. 이때 육지로 도망간 400여 명의 日本 군은 12일 아침에 한산도 해변에서 발각되어 잡힌 후 처형되었다. 포격 후 돌진하여 적함을 깨뜨리고 배 위에서 전투를 벌여 日本 군을 격퇴하였으며 여러 명의 포로들을 구해내었다.
●생애
9일 안골포에 적선 40여 척이 정박해 있다는 보고를 받아 10일 학익진을 펼치고 진격하여 왜선 59척을 침몰시켰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