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정제도의 유형 중 사적조정제도의 검토 및 改善방향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1-15 11:25
본문
Download : 조정제도의 유형 중 사적조정제도의 검토 및 개선방향.hwp
Ⅳ. 사적조정의(定義) 내용
1. 조정위원 선임
노사 당사자 쌍방의 합의나 단체협약 내에 규정하고 있는 경우 조정이 개시되었을때 조정을 위한 조정위원을 선임할 수 있다
2. 조정의(定義) 내용
사적조정에 대한 내용은 노사 당사자가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다
3. 쟁의행위의 금지기간의 설정
1). 사적 조정의(定義) 경우
사적조정시 쟁의행위 금지기간은 일반사업에 있어서 10일, 공익사업에 있어서 15일로 공적조정과 동일하나, 그 기산일에 있어서 사적조정은 개시한 날인데 반해, 공적조정은 신청일로부터 기산한다는 차이점이 있다
2). 사적 중재의 경우
사적중재의 경우 쟁의행위 금지기간은 15일로 공적중재와 동일하나, 사적중재가 중재를 개시한 날인데 반해 …(투비컨티뉴드 )
조정제도의 유형 중 사적조정제도의 검토 및 改善방향
조정제도의 유형 중 사적조정제도의 검토 및 改善방향에 대해서 정리(整理) 하였습니다.사적조정제도의법적검토및개선방향 , 조정제도의 유형 중 사적조정제도의 검토 및 개선방향법학행정레포트 ,
사적조정제도의법적검토및改善방향
Download : 조정제도의 유형 중 사적조정제도의 검토 및 개선방향.hwp( 85 )
다.
2. 사적조정의(定義) 대상
사적조정의(定義) 대상은 권리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이익분쟁에 한정하며, 이미 형성된 권리에 대한 권리분쟁은 해당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공적조정과 그 대상을 같이 한다.




순서
레포트/법학행정
설명
조정제도의 유형 중 사적조정제도의 검토 및 개선방향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.
,법학행정,레포트
Ⅰ. 들어가며
Ⅱ. 사적 조정의(定義) 개시 및 절차
Ⅲ. 사적조정의(定義) 대상
Ⅳ. 사적조정의(定義) 내용
Ⅴ. 사적 조정의(定義) efficacy
Ⅵ. 사적조정의(定義) drawback(걸점) 및 improvement방향
Ⅶ. 마치며
Ⅲ. 사적조정의(定義) 대상
1. 쟁의행위의 의의
쟁의행위는 임금, 복지, 해고, 기타 대우 등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주장의 불일치로 발생한 분쟁상태로 더 이상 자주적 교섭에 의한 합의의 여지가 없는 경우를 말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