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초과학 연구와 교육을 위한 미세조류은행의 활용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14 05:31
본문
Download : 기초과학 연구와 교육을 위한 미세조류은행의 활용.hwp
진핵생물로의 진화는 약 7∼8억년 전으로 추정된다 형태는 엽록체 대신에 내재 공생하는 남조류를 가진 현생 glaucophytes와 비슷한 것으로 생각되며 석회질이나 규산질의 ingredient이 없어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지 않아 정확한 연대는 추정하기 어렵다.
⑴형태change(변화) 추적: Micrasterias denticulata
⑵세포성장과 발달: Scenedesmus, Pediastrum
⑶배우체 유도와 편모 접합: Chlamydomonas reinhardi
⑷돌연변이: Anacystis nidulans, Nostoc
⑸돌연변이와 색소체 분화: Euglena graci…(省略)
,자연과학,레포트
다. 이후 광합성의 부산물로 생성되는...
레포트/자연과학
Download : 기초과학 연구와 교육을 위한 미세조류은행의 활용.hwp( 74 )
기초과학 연구와 교육을 위한 미세조류은행의 활용
지구상에 처음 나타난 광합성 조류는 남조류로서 약 30억년전의 stromatolites 화석으로 보존되어 있다. 조류은행에서 세포의 지속적인 공급과 다양한 세포계통을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본다.
지구상에 처음 나타난 광합성 조류는 남조류로서 약 30억년전의 stromatolites 화석으로 보존되어 있다. 이후 광합성의 부산물로 생성되는... , 기초과학 연구와 교육을 위한 미세조류은행의 활용자연과학레포트 ,






설명
순서
지구상에 처음 나타난 광합성 조류는 남조류로서 약 30억년전의 stromatolites 화석으로 보존되어 있다 이후 광합성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산소로 지구environment(환경) 은 change(변화)하기 스타트하였다. Lee(1989)는 색소체의 구성 ingredient과 엽록체를 싸고 있는 막구조의 특성(特性)에 따라 조류들을 4종류로 나누어 설명(explanation)하고 있다
⑴원핵세포 조류: Cyanophyta, Prochlorophyta
⑵진핵세포 조류 - 2층 엽록체막: Glaucophyta, Rhodophyta, Chlorophyta
⑶진핵세포 조류 - 2층 엽록체막 + 1층 엽록체-소포체막: Euglenophyta, Dinophyta
⑷진핵세포 조류 - 2층 엽록체막 + 2층 엽록체-소포체막: Cryptophyta, Chrysophyta, Prymnesiophyta, Bacillariophyta, Xanthophyta, Eustigmatophyta, Raphidophyta, Phaeophyta.
이러한 분류 체제의 바탕이 되는 미세구조와 색소에 대한 연구는 순수배양으로 종이 유지되어야만 가능하다.
세포학 연구방법 (참고: Gantt 1980)
세포학 연구에 이용된 미세조류들을 살며보면 다음과 같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