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report] 표준어 규정(문교부 고시 제88 2호)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2-10 23:59
본문
Download : kn1136028_표준어_규정(문교부_고시_제88-2호).hwp
(ㄱ을 표준어로 삼고, ㄴ을 버림.) ㄱ ㄴ 비고 강낭-콩 강남-콩 고삿 고샅 겉∼, 속∼ 사글-세 삭월-세 ‘월세’는 표준어임. 울력-성당 위력-성당 떼를 지어서 으르고 협박하는 일 다만, 어원적으로 원형에 더 가까운 형태가 아직 쓰이고 있는 경우에는,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. (ㄱ을 표준어로 삼고, ㄴ을 버림.) ㄱ ㄴ 비고 가을-갈이 가을-카리 거시기 거시키 분침 푼침제5항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로 굳어져서 널리 쓰이는 것은,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.(ㄱ을 표준어로 삼고, ㄴ을 버림.) ㄱ ㄴ 비고 갈비 가리 ∼구이, ∼찜, 갈빗-대 갓모 갈모 1. 사기 만드는 물레 밑고리 2. ‘갈모’는 갓 위에 쓰는, 유지로 만든 우비 굴-젓 구-젓 말-곁 말-겻 물-수란 물-수랄 ...
레포트 kn1136028 표준어 규정문교부 고시 제88 2호 표준어 규정문교
순서
표준어 규정(문교부 고시 제88-2호)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제1장 총칙...
다.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제1절 자음제3항 다음 단어들은 거센소리를 가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.
설명
레포트 > 기타
Download : kn1136028_표준어_규정(문교부_고시_제88-2호).hwp( 76 )
[report] 표준어 규정(문교부 고시 제88 2호)
표준어 규정(문교부 고시 제88-2호)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제1장 총칙...
-6025_01.gif)
-6025_02_.gif)
-6025_03_.gif)
-6025_04_.gif)
-6025_05_.gif)
표준어 규정(문교부 고시 제88-2호)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제1장 총칙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.(ㄱ을 표준어로 삼고, ㄴ을 버림.) ㄱ ㄴ 비고 끄나풀 끄나불 나팔-꽃 나발-꽃 녘 녁 동∼, 들∼, 새벽∼, 동틀∼ 부엌 부억 살-쾡이 삵-괭이 칸 간 1. ∼막이, 빈∼, 방 한∼ 2. ‘초가삼간, 윗간’의 경우에는 ‘간’임. 털어-먹다 떨어-먹다 재물을 다 없애다.제2항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.제4항 다음 단어들은 거센소리로 나지 않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