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인문] 군사학 학문체계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2-16 16:12
본문
Download : [인문] 군사학 학문체계.hwp
지금까지 군사학에 대한 개념(槪念)에는 여러 해석이 있어 왔지만, 그것이 명쾌하게 정의(定義) 내려진 바 없다. 심지어 극단적인 경우에는 군사 분야의 독특한 성격으로 말미암아 학술이론(理論)의 대상이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객관화(objectivity) formula(공식)화(법칙화…(省略)
[인문] 군사학 학문체계
![[인문]%20군사학%20학문체계_hwp_01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C%9D%B8%EB%AC%B8%5D%20%EA%B5%B0%EC%82%AC%ED%95%99%20%ED%95%99%EB%AC%B8%EC%B2%B4%EA%B3%84_hwp_01.gif)
![[인문]%20군사학%20학문체계_hwp_02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C%9D%B8%EB%AC%B8%5D%20%EA%B5%B0%EC%82%AC%ED%95%99%20%ED%95%99%EB%AC%B8%EC%B2%B4%EA%B3%84_hwp_02.gif)
![[인문]%20군사학%20학문체계_hwp_03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C%9D%B8%EB%AC%B8%5D%20%EA%B5%B0%EC%82%AC%ED%95%99%20%ED%95%99%EB%AC%B8%EC%B2%B4%EA%B3%84_hwp_03.gif)
![[인문]%20군사학%20학문체계_hwp_04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C%9D%B8%EB%AC%B8%5D%20%EA%B5%B0%EC%82%AC%ED%95%99%20%ED%95%99%EB%AC%B8%EC%B2%B4%EA%B3%84_hwp_04.gif)
![[인문]%20군사학%20학문체계_hwp_05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C%9D%B8%EB%AC%B8%5D%20%EA%B5%B0%EC%82%AC%ED%95%99%20%ED%95%99%EB%AC%B8%EC%B2%B4%EA%B3%84_hwp_05.gif)
![[인문]%20군사학%20학문체계_hwp_06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C%9D%B8%EB%AC%B8%5D%20%EA%B5%B0%EC%82%AC%ED%95%99%20%ED%95%99%EB%AC%B8%EC%B2%B4%EA%B3%84_hwp_06.gif)
레포트/인문사회
Download : [인문] 군사학 학문체계.hwp( 70 )
다.
군사의 기능적 측면에서 보면 군사는 전쟁을 전제로 평시에는 군사력을 효율적으로 건설, 유지, 관리하여 유사시에 대비하는 것이며, 일단 유사시에는 준비된 군사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당면한 군사위협을 배제하거나 정책목적을 달성하는 위기관리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
따라서 군사를 좀 더 구체적으로 요약하면 전쟁의 준비와 수행 및 이와 관련된 사회활동을 지칭하는 말로서 병력의 조직, 훈련 및 작전, 무기 및 장비의 연구와 제작, 생산과 사용, 전술전술의 연구와 운용, 전쟁물자의 비축과 보급, 국방설비의 계획과 건설, 예비군 및 민방위의 조직과 동원 등의 활동이 여기에 포함된다
군사학은 단순하게 군사에 관한 학문 EH는 군사적 요소에 대한 문제들을 살표보는 과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.
한편 목적 측면에서 보면 군사는 전쟁에 처하여 국가가 가지고 있는 무력을 어떻게 준비하고 사용하여 국가goal(목표) 를 달성할 것인가 하는 군사적 임무수행을 그 목적으로 한다.
설명
[인문] 군사학 학문체계 -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.
또한 군사의 요소에는 기능과 목적이라는 2가지 요소가 있는데, 기능 요소는 정치, 경제, 외교, 교육 등이 국가의 고유 행정기능으로 존재하는 것 같이 군사에 있어서도 군대를 관리하고 운여하는 고유 기능이 있다는 것이다. , [인문] 군사학 학문체계인문사회레포트 , 인문 군사학 학문체계
-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.
인문,군사학,학문체계,인문사회,레포트
[인문] 군사학 학문체계
순서
군사학 학문체계
1 군사학의 학문성
군사(military affairs)란 용어는 민사(civil affairs)와 대별되는 말로 history(역사) 文化적 전통에 의하면 병이나 군이란 용어로 표현되는 것이 통례인데, 그 어의는 군대조직(military organizatin), 전쟁(war), 군사자원(military requirement : 무기장비, 전투원, 군사이론(理論)과 기술)을 포괄하는 개념(槪念)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.